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최대 4% 저축장려금!! 2022년 "청년 희망적금" 정리

by 이쿠리 2022. 2. 2.

 

 

2022년 청년희망적금의 출시일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나도 해당되는 사항이니만큼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자, 신청방법, 지원내용 등 정리하여 기록하고자 한다.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의 안정적 자산관리 지원을 위해 저축장려금이 추가 지원되고 이자소득 비과세가 지원되는 자유적금상품이다.

 

2년 만기 상품으로,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주가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저축 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받을 수 있다.

 

이자 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 특별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좀 더 자세한 신청 조건과 지원 내용을 알아보자.

 

 

 

 

1. 가입 대상

 

- 연령: 가입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87.2.22일 이후 출생자)이 가입 가능

 

※ 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산입되지 않는다.

    ☞ (예) 병역이행기간이 2년인 ‘86년생은 연령 요건 충족

 

 

- 소득:  직전 과세기간(‘21.1~12월)의 총급여가 3,600만원(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면 가입 가능

 

다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입이 제한됨.

 

*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가입이 어려울 수 있다고 하니 확인 후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관련 기관 연락처를 적어둘테니 연락해보자.

 

 

 

 

2. 지원내용

 

- 매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

 

- 최대 2년 만기 상품.

 

-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예산으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

 

* 매월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는 경우, 최대 36만원 저축장려금 지원

 

- 자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는 비과세

 

 

 

저축장려금 + 이자소득(비과세) 혜택이라니, 시중에 이만한 적금 상품이 있을까싶다.

나는 최대 한도인 50만원을 꽉꽉 채워 출시일에 가입할 예정이다.

 

 

 

 

3. 가입절차

 

 

(1)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해 가입 가능여부 확인 후 정식 출시때 간소화 가입하기

 

-   청년희망적금 출시일(2022.02.21) 이전인 2.9~2.18동안 11개 시중은행의 앱을 통해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금 가입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 할 수 있다.

 

이 ' 청년 희망적금 미리보기'를 참여하면 적금이 출시되었을 때 다시 가입요건 확인절차를 거치지않고 바로 가입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가입 가능 여부도 확인해 볼 겸 미리 해놓는 것을 추천한다.

 

 

 

 

(2) 출시일에 맞춰 정식 가입하기

 

- 청년희망적금은 2.21(월)에 11개 시중은행에서 정식 출시될 예정이며, 가입희망자는 취급은행 중 1개 은행을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 가능하다.

 

*11개 시중은행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은행 (대면, 비대면으로 취급 예정)

** 향후(6월 경) SC제일은행 추가 취급 예정이라 함

 

 

* 시중금리는 2.9(수)부터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예금상품금리 비교사이트에서 은행별로 비교 할 수 있다.

 

 

청년희망적금 금리 비교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클릭^^

https://life-recording.tistory.com/14?category=1257956

 

은행마다 다른 우대금리 조건!! 가장 금리가 높은 은행은?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 확인하기

2월 21일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병역이행기간(최대 6년) 제외) 중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과세 2,600만원,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life-recording.tistory.com

 

 

※ 청년희망적금과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안내는  출시 예정인 11개 은행 콜센터와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1397)로 문의해보자.

11개 은행 콜센터 연락처

 

 

 

 

 

청년희망적금 요약

 

 

 

 

 

 

시중금리가 얼마일지 모르겠으나, 은행이자 비과세에 저축장려금을 최대 36만원까지 주는 상품이니 왠만한 적금 특판보다 좋을 것 같다.

가입조건이 되는 분들은 꼭 가입하길 바란다!!

 

가장 중요한 출시일은 2022년 2월 21일이니 잊지말고 달력에 적어두자.

 

혹시 2월 9일에 은행별 시중금리를 확인하고, 새로운 은행에서 통장을 개설 후 청년희망적금을 드실 분들은

계좌 개설 제한일(20일)을 염두하여 가입하기 20일 전에는 신규 계좌개설은 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