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은행마다 다른 우대금리 조건!! 가장 금리가 높은 은행은?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 확인하기

by 이쿠리 2022. 2. 9.

2월 21일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병역이행기간(최대 6년) 제외) 중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과세 2,600만원,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내국인이 가입할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소득이 없는 경우는 가입이 불가하며, 공무원은 가입 가능합니다.

 

가입기간은 최대 2년이며, 월 최대 50만원 이하의 자유적립식 상품입니다.

1인 1계좌를 원칙으로 하며, 납입금액에 대해 이자와 별도로 1차년도 2%(최대 12만원), 2차년도 4%(최대 24만원), 최대 총 36만원의 저축장려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희망적금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최대 4% 저축장려금!! 2022년 "청년 희망적금" 정리

2022년 청년희망적금의 출시일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나도 해당되는 사항이니만큼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자, 신청방법, 지원내용 등 정리하여 기록하고자 한다.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의 안정

life-recording.tistory.com

 

 

 

 

오늘은 희망적금 출시 전에 가입가능여부와 은행별 금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적금 가입 가능한 은행은 총 11개 시중은행으로, NH농협, 신한, 우리, 하나, IBK, KB국민, DGB대구, BNK부산, 광주, 제주, 전북은행입니다.

 

11개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기본 금리는 5%이며, 은행마다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로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별 금리 비교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이트에서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 [예금상품금리비교]로 들어가면 [청년희망적금금리] 탭이 따로 있어서 은행별 금리와 우대금리 조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적금은 1인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므로 각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을 확인해보신 후, 1곳의 은행을 선택하여 적금에 가입하시기를 추천합니다.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ng.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portal.kfb.or.kr

 

은행별 기본 금리가 5%이므로 정부지원금 + 비과세를 적용하면 연 9.31%의 적금상품입니다.

 

은행별 기본금리 5% 외에 우대금리를 모두 만족했을 때 최대 받을 수 있는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NH농협은행: 5.5%

신한은행: 5.7%

우리은행: 5.7%

하나은행: 5.7%

IBK기업은행: 5.9%

KB국민은행: 6.0%

DGB대구은행: 5.5%

BNK부산은행: 5.5%

광주은행: 5.2%

제주은행: 5.5%

전북은행: 5.2%

 

가장 높은 곳은 기업은행과 국민은행이네요.

 

하지만 기업은행은 종이통장 미발행인 경우 0.3%는 조건을 충족하기 쉬우나

급여이체 실적이 있는경우 0.3%, 기업은행 카드를 3백만원 이상 사용한 경우 0.3%의 조건이 있어서 우대금리를 모두 받기가 쉽지않아보입니다.

 

국민은행의 경우, 급여이체 0.5%, 자동이체 0.3%, 첫거래 우대이율 0.5%로 상대적으로 조건을 충족하기 쉽네요.

기존에 국민은행 게좌가 없다면 국민은행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국민은행으로 급여통장을 바꾸고(0.5%), 적금 자동이체(0.3%)를 해서 0.8%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국민은행으로 선택하려고 합니다.

 

제가 이전에 안내드렸던 청년희망적금 정리글을 보셨다면 아실테지만,

적금 출시 전에 은행 어플의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해 가입 가능여부를 확인하면 정식 출시때 추가로 가입요건 확인 절차없이 가입하실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적금 가입하실 은행앱에서 적금 가능여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상품 상세정보 내역은 각 은행별 상품공시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 제도 관련은 서민금융진흥원 (국번없이 1397)

 

- 각 은행별 문의처 안내

NH농협은 1661-3000, 1522-3000 신한은행 1577-8000
우리은행 1588-5000 하나은행 1588-1111, 1599-1111
IBK기업은행 1588-2588, 1566-2566 KB국민은행 1588-9999
DGB대구은행 1566-5050, 1588-5050 BNK부산은행 1588-0079
광주은행 1588-3388, 1600-4000 제주은행 1588-4477
BNK경남은행 1600-8585 전북은행 1588-4477